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72

Git Bisect로 버그 원인 빠르게 찾기 - 이진 탐색 디버깅 개발 프로세스에서 가장 골치 아픈 순간 중 하나는 언제부터인가 발생한 버그의 원인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수백 개의 커밋 중에서 언제부터 문제가 시작되었는지 찾아내는 것은 마치 건초더미에서 바늘 찾기와 같습니다.하지만 Git의 강력한 기능인 git bisect를 활용하면이진 탐색 알고리즘을 통해 버그의 원인이 되는 커밋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Git Bisect란 무엇인가?Git Bisect는 Git에 내장된 이진 탐색(Binary Search) 기반의 디버깅 도구입니다.이 명령어는 좋은 상태의 커밋과 나쁜 상태의 커밋 사이에서 문제가 발생한 정확한 지점을 찾아주는 역할을 합니다.전통적인 선형 검색 방식으로 커밋을 하나씩 확인한다면 O(n)의 시간 복잡도가 필요하지만, Git Bisect는 .. 2025. 6. 14.
Redis Cluster vs Sentinel - 고가용성 아키텍처 선택 가이드 Redis는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았습니다.세션 관리, 캐싱, 실시간 데이터 처리 등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었죠.하지만 단일 Redis 인스턴스는 장애 발생 시 전체 서비스가 중단되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습니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edis는 Redis Cluster와 Redis Sentinel 두 가지 고가용성 솔루션을 제공합니다.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실제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상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Redis 고가용성이 필수인 5가지 이유비즈니스 연속성 보장Netflix, Instagram 같은 대규모 서비스들이 Redis 장애로 인한 서비스 중단을 경험한 사례를 보면, 고가용성의 중요성을 알 수 있습니다.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결제 시스템.. 2025. 6. 14.
루아 입문 시리즈 #8: OpenResty로 고성능 웹 서버 구축하기 - Nginx + Lua의 완벽한 조합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높은 성능과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OpenResty는 Nginx 웹 서버에 Lua 스크립팅 기능을 통합하여,고성능 웹 애플리케이션과 실시간 HTTP API 서버를 구축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플랫폼입니다.이전 시리즈에서 다룬 루아 코루틴과 비동기 프로그래밍의 지식을 바탕으로,이번 글에서는 OpenResty를 활용한 실전 웹 서버 구축 방법을 완전히 마스터해보겠습니다.OpenResty란 무엇인가? - Nginx + Lua의 혁신적 결합OpenResty는 중국의 개발자 Zhang Yichun(agentzh)이 개발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Nginx를 기반으로 하면서 LuaJIT를 통해 고성능 Lua 스크립팅 환경을 제공합니다.일반적인 Nginx 정.. 2025. 6. 13.
루아 입문 시리즈 #7: 코루틴과 비동기 프로그래밍 - 협력적 멀티태스킹의 완전 정복 루아의 코루틴(Coroutine)은 협력적 멀티태스킹을 구현하는 강력한 기능입니다.일반적인 함수와 달리 코루틴은 실행을 중단했다가 나중에 재개할 수 있어,비동기 프로그래밍과 복잡한 제어 흐름을 우아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루아 코루틴의 심화 개념부터 실전 비동기 패턴까지 완벽하게 마스터해보겠습니다.코루틴 기본 개념과 동작 원리루아 코루틴은 coroutine 라이브러리를 통해 구현되며, 협력적 멀티태스킹의 핵심 메커니즘입니다.일반 함수는 호출되면 완전히 실행되고 종료되지만, 코루틴은 중간에 실행을 양보(yield)하고 나중에 다시 재개(resume)할 수 있습니다.-- 기본 코루틴 생성과 실행function simpleCoroutine() print("코루틴 시작") corouti.. 2025. 6. 13.
BGP 프로토콜 이해하기: 인터넷 라우팅의 핵심 인터넷이 어떻게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지 궁금하신가요?그 답은 BGP(Border Gateway Protocol)라는 핵심 라우팅 프로토콜에 있습니다.BGP는 인터넷의 백본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 중 하나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BGP 프로토콜의 기본 개념과 정의BGP(Border Gateway Protocol)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와 대규모 조직 간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1989년에 처음 개발된 이후 현재 BGP-4 버전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RFC 4271에 정의되어 있습니다.BGP는 경로 벡터(Path Vector) 프로토콜로 분류되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다양한 속.. 2025. 6. 13.
루아 입문 시리즈 #6: 루아와 C 연동 프로그래밍 루아(Lua)의 가장 강력한 특징 중 하나는 바로 C 언어와의 완벽한 연동 기능입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루아와 C를 연동하는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고,FFI(Foreign Function Interface)를 활용한 고성능 프로그래밍 기법을 마스터해보겠습니다.루아와 C 연동이 필요한 이유루아는 스크립트 언어로서 빠른 개발과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계산 집약적인 작업에서는 성능상 한계가 있습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 언어의 강력한 성능과 루아의 편의성을 결합하는 것이 바로 루아-C 연동 프로그래밍의 핵심입니다.주요 활용 사례게임 개발: 게임 엔진의 핵심 로직은 C/C++로 구현하고, 게임플레이 스크립트는 루아로 작성임베디드 시스템: 하드웨어 제어는 C로, 설정과 로직은 루아로 분리웹 서버 확장: N.. 2025.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