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7

npm ERR! code ERESOLVE 의존성 충돌 – 원인 분석과 단계별 해결법 가이드 npm ERR! code ERESOLVE는 패키지 의존성 버전 충돌로 인한 npm의 대표적인 에러로, 체계적인 단계별 해결 방법을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npm ERR! code ERESOLVE 에러란 무엇인가? npm 7 버전 이후부터 도입된 ERESOLVE 에러는 의존성 해결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을 나타내는 에러입니다.기존 npm 6에서는 단순히 경고만 표시하고 설치를 진행했지만, npm 7부터는 더욱 엄격한 의존성 검사를 통해 이러한 충돌을 에러로 분류하게 되었습니다. 주요 특징패키지 간 버전 호환성 문제로 발생peer dependencies 충돌이 주요 원인npm install 과정에서 중단됨의존성 트리 분석이 필요한 복잡한 문제npm 의존성 충돌 발생 원인 분석1. Peer Dep.. 2025. 7. 23.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최신 Lint/Formatter 세팅 가이드 2025 2025년에 접어들면서 프론트엔드 개발 환경은 더욱 정교해지고 있습니다.코드 품질 관리의 핵심인 Linting과 Formatting 도구들도 새로운 기능과 개선사항을 통해 개발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이 가이드에서는 프론트엔드 최신 Lint 세팅을 위한 완벽한 로드맵을 제시하겠습니다.ESLint와 Prettier의 2025년 동향ESLint와 Prettier는 여전히 프론트엔드 개발의 표준입니다.최신 조사에 따르면 ESLint (89.3%)와 Prettier (87.5%)가 linting과 formatting 영역에서 압도적인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이들 도구의 지속적인 인기는 안정성과 오랜 기간 쌓인 신뢰성을 반영합니다.ESLint 9.0의 새로운 변화2025년의 ESLint는 새로운 ".. 2025. 6. 24.
스택 오버플로우 2025 Top 10 트렌드와 한국 개발자에게 미치는 영향 서론: 2025년 스택 오버플로우 조사에 따르면 JavaScript, Python, PostgreSQL이 계속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며, AI 도구 사용률은 76%에 달합니다. 한국 개발자들에게는 Rust, TypeScript, AI 통합 개발이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스택 오버플로우 2025 개발자 설문조사 개요2024년 5월, 185개국에서 65,000명 이상의 개발자들이 연례 스택 오버플로우 설문조사에 참여했습니다.이 조사는 코딩, 기술 및 도구 사용, AI, 그리고 직장에서의 개발자 경험에 대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2025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트렌드들을 통해 한국 개발자들이 어떻게 글로벌 해외 트렌드에 적응하고 커뮤니티에 기여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Jav.. 2025. 6. 23.
Next.js 15 App Router 마이그레이션 후기: SSR/CSR 성능 차이 실전 분석 최근 회사 프로젝트를 Next.js 13 Pages Router에서 Next.js 15 App Router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작업을 완료했습니다.약 3개월간의 마이그레이션 과정에서 겪은 경험과 SSR/CSR 성능 차이를 실제 데이터와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마이그레이션을 결정한 이유기존 Pages Router 기반의 프로젝트는 약 50개의 페이지와 다양한 API 라우트를 포함하고 있었습니다.Next.js 15 App Router로의 마이그레이션을 결정한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능 개선 기대React Server Components의 도입으로 번들 크기 감소향상된 데이터 페칭 패턴개선된 라우팅 성능개발자 경험(DX) 향상파일 기반 라우팅의 직관성레이아웃 중첩 기능스트리밍과 Suspense의 원활한.. 2025. 6. 23.
WebRTC로 화상회의 앱 만들기 - P2P 통신 구현 완벽 가이드 현대 웹 개발에서 webrtc 화상회의 구현은 점점 더 중요한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원격 근무와 온라인 소통이 일상화되면서, 실시간 화상 통신 기술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 기술을 활용해 peer to peer 방식의 화상회의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WebRTC란 무엇인가?WebRTC는 웹 브라우저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Google이 주도하여 개발된 이 기술은 별도의 플러그인이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도브라우저 간 직접적인 peer to peer 통신을 지원합니다. WebRTC의 핵심 구성 요소는 다음과 .. 2025. 6. 20.
Express 미들웨어 완벽 가이드: 실무 적용과 성능 최적화 Express 미들웨어 아키텍처의 핵심 이해Express.js는 Node.js 생태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웹 프레임워크로, 미들웨어 파이프라인 아키텍처를 통해 강력한 확장성과 모듈성을 제공합니다.미들웨어는 HTTP 요청과 응답 사이에서 실행되는 함수들의 연속체로, 각각이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며 순차적으로 실행됩니다.실제 운영 환경에서 미들웨어 구조를 잘못 설계하면 응답 시간이 200%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자주 목격합니다.반대로 올바른 미들웨어 아키텍처를 구성하면 동일한 하드웨어에서 처리량을 3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미들웨어의 내부 동작 원리Express의 미들웨어는 본질적으로 스택 기반의 실행 모델을 따릅니다.각 미들웨어 함수는 다음 세 가지 매개변수를 받습니다:req (요청 객체): 클라이.. 2025.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