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72 디스코드 웹훅(Webhook)으로 자동 알림 보내는 법 (feat. GitHub Actions) 소개2025년 DevOps 트렌드에서 자동화와 실시간 알림 시스템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특히 개발팀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자동화가 핵심입니다.디스코드(Discord)는 단순한 게이밍 채팅 플랫폼을 넘어 현대 개발팀의 핵심 커뮤니케이션 허브로 진화했습니다.전 세계 수백만 개발자들이 프로젝트 관리, 코드 리뷰, 배포 알림을 위해 디스코드를 활용하고 있으며,웹훅(Webhook) 기능을 통해 강력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이 완벽한 가이드에서는 디스코드 웹훅과 GitHub Actions를 연동하여개발 워크플로우를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실시간 코드 변경 알림부터 고급 배포 모니터링까지, 모든 과정을 실전 예제와 함께 제공합니다.웹훅(Web.. 2025. 5. 8. 스프링 시큐리티와 보안 가이드: JWT vs OAuth2 vs Session – 인증 방식 비교와 적용 전략 인증 방식 핵심 개념 이해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 주요 방식으로 나뉩니다:🔐 Session 기반 인증: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메모리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클라이언트에게는 세션 ID만 쿠키로 전달하는 전통적인 상태 기반(Stateful) 방식입니다.은행이나 정부 시스템에서 여전히 선호되는 이유는 서버에서 세션을 즉시 무효화할 수 있는 강력한 제어력 때문입니다. 🎫 JWT (JSON Web Token): 사용자 정보를 JSON 형태로 암호화하여 토큰 자체에 포함시키는 무상태(Stateless) 방식입니다.토큰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들어있어 서버가 별도로 상태를 관리할 필요가 없어, Netflix나 Spotify 같은 글로벌 서비스에서 확장성을 위해 채택합니다. 🌐 .. 2025. 5. 7. 쓰레드와 프로세스의 차이: 실무 예제 기반으로 완벽 이해 메모리 구조부터 성능 최적화까지, 동시성 프로그래밍의 모든 것을 실전 사례로 마스터하세요기초 개념: 메모리 아키텍처의 이해프로세스(Process)는 운영체제로부터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아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입니다.각 프로세스는 고유한 가상 주소 공간을 가지며, 코드(Text), 데이터(Data), 힙(Heap), 스택(Stack)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쓰레드(Thread)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가장 작은 실행 단위로, 같은 프로세스의 다른 쓰레드와 메모리 공간을 공유합니다.각 쓰레드는 독립적인 스택과 레지스터를 가지지만, 코드, 데이터, 힙 영역은 공유합니다.메모리 구조 상세 다이어그램프로세스 A 프로세스 B┌─────────────────┐ .. 2025. 5. 7. Postman 실전 가이드 - REST API 테스트부터 자동화까지 완벽 사용법 Postman을 활용한 API 테스트 자동화로 개발 생산성을 40% 향상시키고 배포 오류를 90% 감소시키는 실무 중심의 완전 가이드입니다.🤔 Postman이란? 현대 개발자의 필수 도구API 테스트의 혁신, Postman의 탄생 배경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예를 들어, 카카오톡에서 날씨 정보를 확인할 때 기상청 API를 호출하고, 온라인 쇼핑몰에서 결제할 때 PG사 API를 사용합니다.과거 개발자들은 API를 테스트하기 위해 복잡한 커맨드라인 도구(curl)나 직접 코드를 작성해야 했습니다:# 기존 방식: 복잡한 curl 명령어curl -X POST "https://api.examp.. 2025. 5. 6. Spring Boot에서 Redis 캐시 적용하기 - Caching 전략 3가지 실습 Redis 캐시를 Spring Boot에 적용하는 완벽한 가이드로 API 응답 속도 10배 향상과 데이터베이스 부하 80% 감소를 달성하는 실전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Redis 캐시란 무엇인가?캐시(Cache)의 기본 개념캐시는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임시 저장소입니다.마치 책상 위에 자주 쓰는 펜을 두는 것처럼,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요청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두어 빠른 응답을 제공합니다.사용자 요청 → 캐시 확인 → 있으면 즉시 반환 (Cache Hit) ↓ 없으면 DB 조회 → 결과를 캐시에 저장 → 사용자에게 반환 (Cache Miss)Redis가 특별한 이유Redis(Remote Dictionary Server)는 단순한.. 2025. 5. 6. Spring Boot에서 비동기 처리(Async & Scheduler) 제대로 쓰는 법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동기 처리는 필수입니다.동기 방식으로 처리할 때 2.5초 걸리던 작업이 비동기로 처리하면 120ms로 단축되는 극적인 성능 개선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실제 운영 환경에서 검증된 비동기 처리 전략과 함정을 피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왜 비동기 처리가 필요한가?실제 성능 비교 데이터실제 e커머스 플랫폼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보면 비동기 처리의 효과가 명확합니다:처리 방식평균 응답시간동시 처리량(TPS)CPU 사용률메모리 사용량동기 처리2,500ms40 TPS85%2.1GB비동기 처리120ms850 TPS45%1.8GB개선율95% 감소21배 증가47% 감소14% 감소비즈니스 임팩트사용자 이탈률 45% 감소: 3초 이상 대기 시 67%가 페이지를 떠나던 것이 23%로 감소매출 .. 2025. 5. 5. 이전 1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