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를 사용하여 개발하다 보면 예상보다 많은 쿼리가 실행되어 성능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러한 문제의 대표적인 원인이 바로 'N+1 문제'입니다.이 글에서는 JPA N+1 문제가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제 코드 예제와 함께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JPA N+1 문제란 무엇인가?JPA N+1 문제는 연관된 엔티티를 조회할 때 발생하는 성능 문제입니다.처음에 1개의 쿼리로 N개의 데이터를 가져온 후, 각각의 연관된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추가로 N개의 쿼리가 실행되는 현상을 말합니다.예를 들어, 사용자 10명의 정보와 각 사용자가 작성한 게시글을 조회한다고 가정해봅시다.N+1 문제가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쿼리가 실행됩니다:-- 1. 사용자 10명 조회 (..
IntelliJ IDEA를 사용하다 보면 Gradle 버전 충돌 문제를 자주 마주치게 됩니다.프로젝트를 임포트하거나 새로운 의존성을 추가할 때 갑자기 나타나는 버전 충돌 에러는 개발자들에게 큰 스트레스를 주죠.이 글에서는 IntelliJ IDEA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Gradle 버전 충돌 상황과 그 해결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Gradle 버전 충돌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Gradle 버전 충돌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가장 흔한 원인들을 먼저 파악해보겠습니다.프로젝트와 IDE 간 Gradle 버전 불일치IntelliJ IDEA에 내장된 Gradle 버전과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Gradle 버전이 다를 때 충돌이 발생합니다.예를 들어, 프로젝트의 gradle-wrapper.properti..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다 보면 가장 흔하게 마주치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OutOfMemoryError입니다.이 에러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고, 심각한 경우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본 글에서는 Spring Boot OutOfMemoryError의 원인부터 해결 방법까지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겠습니다.Spring Boot OutOfMemoryError란 무엇인가?OutOfMemoryError는 Java Virtual Machine(JVM)이 더 이상 메모리를 할당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런타임 에러입니다.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합니다: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 메모리 부족메모리 누수(M..
개발자 취업 시장에서 포트폴리오는 단순한 작품집이 아닙니다.당신의 기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주는 핵심 무기입니다.하지만 많은 개발자들이 포트폴리오 작성 과정에서 중요한 실수를 범하여 좋은 기회를 놓치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개발자 포트폴리오 제작 시 반드시 피해야 할 7가지 치명적인 실수와 그 해결방안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프로젝트 설명 부족: 기술 스택만 나열하는 실수개발자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흔한 실수 중 하나는 프로젝트에 대한 충분한 설명 없이 단순히 기술 스택만 나열하는 것입니다.많은 신입 개발자들이 "React, Node.js, MongoDB를 사용한 웹 애플리케이션"이라고만 적어놓고 끝내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채용 담당자들이 정말 알고 싶어하는 것은 왜 이 기술을 선택했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