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76 Spring Boot에서 P6spy로 SQL 쿼리 모니터링하기: 완벽 가이드 (JPA와 MySQL 연동) 개발자로서 데이터베이스 쿼리 성능과 정확성은 애플리케이션 품질에 직결되는 핵심 요소입니다.특히 JPA와 같은 ORM을 사용할 때, 실제로 어떤 SQL 쿼리가 실행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디버깅과 성능 최적화에 필수적입니다.이 글에서는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서 P6spy를 활용해 SQL 쿼리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로깅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P6spy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P6spy는 JDBC 드라이버를 래핑(wrapping)하여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모니터링하고 로깅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2001년에 처음 출시된 이후로, 개발자들에게 데이터베이스 상호작용을 투명하게 볼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매김했습니다.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로깅으로는 실제 SQL 쿼리의 파라미터 값이나 .. 2025. 5. 21. HTTP 상태코드 3xx 리다이렉션 정리 – 301, 302, 307 차이 웹 개발자라면 HTTP 상태 코드와 마주치지 않은 날이 없을 것입니다.특히 사용자를 다른 페이지로 안내하는 리다이렉션 코드들은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SEO 최적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이 글에서는 HTTP 3xx 시리즈의 리다이렉션 상태 코드들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 특히 가장 많이 사용되는 301, 302, 307 코드의 차이점과 적절한 사용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HTTP 리다이렉션이란?리다이렉션은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게 "요청한 리소스가 다른 위치로 이동했으니, 그곳으로 다시 요청하세요"라고 알려주는 메커니즘입니다.이 과정은 사용자가 URL을 입력하거나 링크를 클릭했을 때 웹 서버가 응답으로 3xx 상태 코드와 함께 'Location' 헤더에 새로운 URL을 제공하면, 브라우저가.. 2025. 5. 19.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의 개념과 장단점: 웹 성능 최적화의 필수 요소 CDN은 전 세계 분산 서버를 통해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가장 빠르게 전달하는 핵심 웹 인프라로, 올바른 구현 시 페이지 로딩 속도를 최대 90% 개선하고 서버 부하를 70%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현대 웹 서비스에서 사용자 경험은 곧 비즈니스 성과입니다.Amazon의 연구에 따르면 페이지 로딩 시간이 100ms 증가할 때마다 매출이 1% 감소하며,Google은 모바일 페이지 로딩 시간이 1초에서 10초로 증가하면 이탈률이 123% 증가한다고 발표했습니다.이러한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은 현대 웹 아키텍처의 필수 구성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본 가이드에서는 CDN의 핵심 개념부터 실제 운영 환경에서의 구현 전략까지 상세히 다루겠습니다.CDN의 기본 .. 2025. 5. 19. 메모리 계층 구조 이해: 레지스터, 캐시, RAM, 디스크 차이 메모리 계층 구조란 무엇인가?컴퓨터 시스템에서 메모리는 단순히 하나의 저장 공간이 아닌, 여러 계층으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이러한 계층적 구조는 속도, 용량, 비용 간의 최적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메모리 계층 구조는 마치 피라미드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피라미드의 꼭대기에는 매우 빠르지만 용량이 작고 비싼 메모리가 위치하며,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더 느리지만 용량이 크고 저렴한 메모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메모리 월(Memory Wall) 문제이러한 계층적 구조가 필요한 이유는 바로 '메모리 월(Memory Wall)' 문제 때문입니다.CPU의 처리 속도는 무어의 법칙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왔지만,메인 메모리인 RAM의 속도는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천천히 향상되었습.. 2025. 5. 18. 해시(Hash) 함수와 충돌 해결 방법 – CS 면접 대비 실전 예제 해시 함수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요소로, 검색 엔진의 인덱싱부터 블록체인의 보안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특히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비스에서 O(1) 평균 시간 복잡도를 제공하는 해시 테이블은 필수불가결한 자료구조입니다.이 글에서는 실제 운영 환경에서 겪을 수 있는 해시 관련 문제들과 해결책을 중심으로,CS 면접에서 자주 출제되는 해시 함수와 충돌 해결 방법을 심도 있게 다루겠습니다.해시 함수의 핵심 개념과 실무 적용해시 함수(Hash Function)는 임의 크기의 데이터를 고정 크기의 값으로 매핑하는 일방향 함수입니다. 입력 데이터의 1비트만 변경되어도 결과 해시값이 완전히 달라지는 눈사태 효과(Avalanche Effect)가 핵심 특성입니다.실제 성능 측정 결과네이버의 한 서비스에서.. 2025. 5. 18. 트랜잭션에서 발생하는 데드락(Deadlock) 실전 예제와 해결 전략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에서 발생하는 데드락(Deadlock)은 실무에서 가장 까다로운 성능 문제 중 하나입니다.특히 높은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비스에서는 데드락 한 번으로 전체 시스템이 마비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실제 운영 환경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데드락 시나리오와 검증된 해결 방법을 상세히 다룹니다.데드락의 본질과 비즈니스 임팩트데드락이 실제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카카오페이의 2020년 장애 사례를 보면, 데드락으로 인한 트랜잭션 지연이 연쇄적으로 전파되어 전체 결제 시스템이 마비되었습니다.이 사건은 데드락이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닌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협하는 핵심 리스크임을 보여줍니다. 실제 운영 데이터에 따르면:전자상거래: 데드락 1회당 평균 15-30초 지연, 결제 완료율 2.3% 감소금융.. 2025. 5. 18. 이전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