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idiSQL은 MySQL, MariaDB, PostgreSQL, SQLite를 지원하는 무료 오픈소스 DB 클라이언트로, 직관적인 GUI와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자와 DBA가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필수 도구입니다.
HeidiSQL이란 무엇인가

HeidiSQL은 2002년 독일 개발자 Ansgar Becker가 처음 개발한 이후 20년 이상 꾸준히 발전해온 무료 오픈소스 DB 클라이언트입니다.
원래 MySQL Front라는 이름으로 시작했지만, 2006년부터 HeidiSQL로 이름을 변경하고 더욱 강력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2025년 10월 기준 최신 버전은 12.12이며, MariaDB 공식 Windows 배포판에 기본 포함될 정도로 신뢰받는 도구입니다.
HeidiSQL 사용법을 익히면 복잡한 SQL 명령어 없이도 데이터베이스를 직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HeidiSQL 무료 DB 클라이언트로서의 강점은 상용 도구에 비견되는 성능을 무료로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HeidiSQL의 핵심 장점

무료 오픈소스 DB툴의 대표주자
HeidiSQL은 GPL 라이선스 기반의 완전 무료 소프트웨어입니다.
개인 프로젝트는 물론 상업적 용도로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투명성과 보안성이 검증되었습니다.
GitHub 공식 저장소에서 최신 개발 동향과 이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Hub - HeidiSQL/HeidiSQL: A lightweight client for managing MariaDB, MySQL, SQL Server, PostgreSQL, SQLite, Interbase and Fire
A lightweight client for managing MariaDB, MySQL, SQL Server, PostgreSQL, SQLite, Interbase and Firebird, written in Delphi and Lazarus/FreePascal - HeidiSQL/HeidiSQL
github.com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지원
HeidiSQL은 MariaDB, MySQL, Microsoft SQL Server, PostgreSQL, SQLite, Interbase, Firebird 등 7가지 주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지원합니다.
하나의 도구로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어 개발 환경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HeidiSQL MySQL 관리툴로서의 성능은 업계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으며, HeidiSQL PostgreSQL 지원도 최근 버전에서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복잡한 명령어를 외우지 않아도 마우스 클릭만으로 대부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왼쪽 패널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탐색하고, 오른쪽 패널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고 편집하는 직관적인 레이아웃을 제공합니다.
SQL 쿼리 작성 시 자동완성 기능과 구문 강조 표시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HeidiSQL 설치 및 초기 설정

Windows 환경 설치
HeidiSQL은 Windows 11, 10, 8, 7을 모두 지원합니다.
HeidiSQL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64비트 설치 파일을 내려받습니다.
Download HeidiSQL
Download HeidiSQL 12.12, released on 06 Oct 2025 Please disable your adblocker and reload the page to enable HeidiSQL downloads. Or, if you can't overcome the temptation, rightclick the anchor and click "copy link" to get it. Compatibility notes HeidiSQL r
www.heidisql.com
2025년 10월부터는 64비트 버전만 제공되며, 32비트 지원은 종료되었습니다.
설치 마법사를 따라가면 5분 이내에 설치가 완료됩니다.
Portable 버전도 제공되므로 USB에 담아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맥에서는 직접적으로 사용이 불가합니다.
Linux 환경 지원
HeidiSQL은 최근 Lazarus와 FreePascal로 컴파일된 네이티브 Linux 버전을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deb 패키지를 통해 우분투나 데비안 계열 시스템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dpkg -i ~/Downloads/HeidiSQL_12.12.1.208.deb
Wine을 통한 실행도 가능하지만, 네이티브 버전 사용을 권장합니다.
첫 데이터베이스 연결 설정
HeidiSQL을 실행하면 세션 관리자가 먼저 나타납니다.
'New'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연결을 생성하고 다음 정보를 입력합니다.
| 항목 | 설명 | 예시 |
|---|---|---|
| Network Type | 연결 방식 | MySQL (TCP/IP) |
| Hostname / IP | 서버 주소 | localhost 또는 127.0.0.1 |
| User | 사용자명 | root |
| Password | 비밀번호 | your_password |
| Port | 포트 번호 | 3306 (MySQL 기본값) |
'Open' 버튼을 누르면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됩니다.
연결 설정은 자동으로 저장되므로 다음부터는 클릭 한 번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기본 작업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 생성
왼쪽 트리에서 서버를 우클릭하고 'Create new' > 'Database'를 선택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문자 집합(UTF-8 권장)을 지정하면 즉시 생성됩니다.
테이블 생성은 데이터베이스를 우클릭하고 'Create new' > 'Table'을 선택합니다.
테이블 디자이너가 열리면 컬럼명, 데이터 타입, 길이, 기본값 등을 GUI로 편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imary Key, Foreign Key, Index도 클릭만으로 설정 가능하며, SQL 코드가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조회 및 편집
테이블을 선택하면 'Data' 탭에서 스프레드시트 형태로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셀을 더블클릭하면 직접 수정할 수 있으며, 변경사항은 자동으로 UPDATE 쿼리로 변환되어 실행됩니다.
필터 기능을 사용하면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표시할 수 있습니다.
정렬, 검색, 복사, 붙여넣기 등 엑셀과 유사한 작업 방식을 지원하여 학습 곡선이 낮습니다.
SQL 쿼리 작성 및 실행
'Query' 탭을 열면 SQL 에디터가 나타납니다.
구문 강조 표시와 자동완성 기능이 제공되어 쿼리 작성이 훨씬 수월합니다.
SELECT * FROM users WHERE created_at > '2025-01-01';
F9 키나 실행 버튼을 누르면 쿼리가 실행되고, 결과가 하단 그리드에 표시됩니다.
여러 쿼리를 작성하고 실행할 쿼리만 선택하여 부분 실행도 가능합니다.
쿼리 히스토리가 자동으로 저장되므로 이전에 실행한 쿼리를 쉽게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급 기능 활용하기

뷰와 저장 프로시저 관리
HeidiSQL은 테이블-뷰-프로시저 관리를 통합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합니다.
뷰(View) 생성 시 SQL 쿼리를 작성하면 가상 테이블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장 프로시저와 함수도 GUI 에디터에서 작성하고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MariaDB 공식 문서에서 더 자세한 활용법을 확인해보세요.
트리거와 스케줄된 이벤트도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어 복잡한 데이터베이스 로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내보내기 (Export)
HeidiSQL의 데이터 내보내기 기능은 매우 강력합니다.
CSV, HTML, XML, SQL, LaTeX, Wiki Markup, PHP Array 등 다양한 형식으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선택하고 우클릭 후 'Export database as SQL'을 선택합니다.
압축 옵션을 활성화하면 대용량 데이터도 효율적으로 백업할 수 있습니다.
특정 테이블만 선택하거나, 스키마만 내보내거나, 데이터만 내보내는 등 세밀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서버간 마이그레이션
HeidiSQL의 독특한 기능 중 하나는 서버 간 직접 데이터 전송입니다.
한 서버/데이터베이스에서 다른 서버/데이터베이스로 직접 내보내기가 가능합니다.
파일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전송하므로 대용량 마이그레이션도 빠르고 안전합니다.
개발 환경에서 프로덕션 환경으로 데이터를 옮기거나, MySQL에서 MariaDB로 전환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두 서버에 동시에 연결한 상태에서 Drag & Drop으로도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보안 및 원격 접속
SSH 터널 접속
원격 서버가 보안상의 이유로 직접 접속을 허용하지 않을 때 SSH 터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HeidiSQL은 plink.exe나 OpenSSH의 ssh.exe를 통해 SSH 터널링을 지원합니다.
세션 설정에서 'SSH tunnel' 탭을 열고 SSH 서버 정보를 입력합니다.
SSH Host: your-server.com
SSH Port: 22
Username: ssh_user
Private Key: /path/to/private_key.ppk
이후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입력하면 SSH 터널을 통해 안전하게 접속됩니다.
이 방식은 공용 네트워크에서도 안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SSL 암호화 연결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SSL을 지원한다면 암호화된 연결을 사용해야 합니다.
'Advanced' 탭에서 SSL 인증서 경로를 지정하고 연결하면 모든 통신이 암호화됩니다.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나 원격 서버 관리 시 필수적인 보안 기능입니다.
사용자 권한 관리
HeidiSQL은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권한을 GUI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User manager' 메뉴에서 새 사용자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별, 테이블별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시간당 쿼리 수, 연결 수 등의 제한도 설정 가능하여 리소스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실무 활용 팁
대량 데이터 처리

테이블에 수백만 건의 데이터를 다룰 때도 HeidiSQL은 효율적입니다.
페이지네이션 기능으로 일부 데이터만 로드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입니다.
대량 INSERT 작업은 'Import CSV' 기능을 활용하면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바이너리 파일을 테이블에 일괄 삽입하는 기능도 제공되어 이미지나 문서 관리에 유용합니다.
테이블 유지보수

정기적인 테이블 최적화는 데이터베이스 성능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Maintenance' 메뉴에서 Optimize, Repair, Analyze 작업을 GUI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여러 테이블을 선택하여 일괄 작업도 가능하며, 진행 상황이 실시간으로 표시됩니다.
데이터베이스 비교 및 동기화

개발 서버와 운영 서버의 스키마 차이를 찾아내고 동기화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HeidiSQL의 비교 기능을 사용하면 두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차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이점을 자동으로 SQL 스크립트로 생성하여 동기화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HeidiSQL vs 다른 DB 클라이언트
MySQL Workbench와의 비교
| 특징 | HeidiSQL | MySQL Workbench |
|---|---|---|
| 가격 | 완전 무료 | 무료 (오라클 제공) |
| 지원 DB | 7종 | MySQL 전용 |
| 시작 속도 | 매우 빠름 | 느린 편 |
| 리소스 사용 | 낮음 | 높음 |
| 학습 곡선 | 쉬움 | 중간 |
| 모델링 도구 | 제한적 | 강력함 |
MySQL Workbench는 ER 다이어그램과 데이터 모델링에 강점이 있지만,
일상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에는 HeidiSQL이 더 빠르고 편리합니다.
DBeaver와의 비교
DBeaver는 Java 기반으로 모든 플랫폼을 지원하지만 상대적으로 무겁습니다.
HeidiSQL은 Windows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 훨씬 가볍고 빠릅니다.
DBeaver의 무료 버전은 일부 기능이 제한되지만, HeidiSQL은 모든 기능이 완전 무료입니다.
문제 해결 및 자주 묻는 질문
연결 오류 해결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오류가 발생하면 다음을 확인하세요.
-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실행 중인지 확인
- 방화벽이 해당 포트를 차단하지 않는지 확인
- 호스트명과 포트 번호가 정확한지 확인
- 사용자 계정이 원격 접속을 허용하는지 확인
vcruntime140.dll 오류가 발생하면 Microsoft Visual C++ Redistributable을 설치해야 합니다.
한글 깨짐 현상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의 문자 집합이 UTF-8(utf8mb4)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연결 설정의 'Advanced' 탭에서 'Character set'을 'utf8mb4'로 지정합니다.
기존 데이터의 문자 집합을 변환하려면 ALTER TABLE 명령을 사용합니다.
성능 최적화
대용량 테이블 작업 시 'Preferences'에서 'Data' 탭의 'Max rows' 값을 조정하세요.
자동 새로고침 기능을 끄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서 성능이 향상됩니다.
쿼리 실행 시 LIMIT 절을 활용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로드를 방지하세요.
HeidiSQL 최신 기능 (2025)
SQLite 트리거 편집 지원
2025년 최신 버전에서는 SQLite 데이터베이스의 트리거 편집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제 MariaDB, MySQL과 동일한 방식으로 SQLite 트리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향상된 PostgreSQL 지원
PostgreSQL libpq가 17.0.6과 15.0.14로 업데이트되어 최신 PostgreSQL 서버와의 호환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안전하지 않은 구버전 라이브러리는 제거되어 보안이 강화되었습니다.
최신 데이터베이스 커넥터
MariaDB Connector/C v3.4.7과 MySQL Connector libmysql v9.0.4가 적용되어 최신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완벽하게 지원합니다.
SQLite도 3.50.4로 업데이트되어 최신 SQL 표준을 지원합니다.
커뮤니티 및 지원
공식 포럼
HeidiSQL 공식 포럼은 활발한 커뮤니티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질문을 올리면 개발자와 경험 많은 사용자들이 신속하게 답변해줍니다.
버그 리포트와 기능 요청도 포럼을 통해 제출할 수 있습니다.
GitHub 이슈 트래커

기술적인 버그나 새로운 기능 제안은 GitHub 이슈 트래커를 활용하세요.
개발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소스 코드에 직접 기여할 수도 있습니다.
공식 문서
HeidiSQL 공식 도움말에서 기본적인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크린샷과 함께 주요 기능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어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습니다.
실전 사용 시나리오

웹 개발 프로젝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HeidiSQL로 로컬 개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Laravel, Spring Boot, Django 등 어떤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든 HeidiSQL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결과를 즉시 확인하며, 테스트 데이터를 간편하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작업
대량의 데이터를 SQL로 분석할 때 HeidiSQL의 쿼리 에디터가 유용합니다.
복잡한 JOIN과 집계 함수를 사용한 분석 쿼리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CSV로 내보내어 Excel이나 Python Pandas로 추가 분석도 가능합니다.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복원
정기적인 백업은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가장 중요한 작업입니다.
HeidiSQL의 SQL 내보내기 기능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파일로 백업할 수 있습니다.
복원 시에는 'Load SQL file' 기능으로 백업 파일을 실행하면 됩니다.
자동화가 필요하다면 명령줄 스위치를 활용하여 스크립트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결론

HeidiSQL은 무료 오픈소스 DB툴로서 MySQL 클라이언트와 MariaDB 관리 도구의 대표 주자입니다.
초보 개발자부터 숙련된 DBA까지 모두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HeidiSQL 사용법을 익히면 복잡한 데이터베이스 작업도 클릭 몇 번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HeidiSQL PostgreSQL 지원이 강화되면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하나의 도구로 통합 관리가 가능해졌습니다.
SQLite 지원까지 포함하면 로컬 개발부터 엔터프라이즈 서버까지 전 영역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SSH 터널 접속과 SSL 암호화를 통한 보안 기능, 서버간 마이그레이션 기능 등 실무에 필요한 고급 기능도 완벽하게 갖추고 있습니다.
2025년 최신 업데이트에서는 더욱 향상된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하며, 네이티브 Linux 버전까지 출시되어 크로스 플랫폼 지원도 확대되었습니다.
무료임에도 불구하고 상용 도구 못지않은 기능을 제공하는 HeidiSQL은 모든 데이터베이스 관련 작업자의 필수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HeidiSQL을 다운로드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새로운 효율성을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ORA-01555 Snapshot Too Old 에러, UNDO_RETENTION부터 쿼리 튜닝까지: 완벽 해결책
ORA-01555 Snapshot Too Old 에러는 Oracle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복잡한 오류 중 하나로, UNDO_RETENTION 설정 최적화와 체계적인 쿼리 튜닝을 통해 완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Orac
notavoid.tistory.com
DynamoDB: 기본 개념부터 요금(pricing) 구조와 실제 비용 절감 전략까지 완전 정리
AWS DynamoDB는 완전 관리형 NoSQL 데이터베이스로, 프로비저닝과 온디맨드 요금제를 통해 다양한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올바른 설계와 운영 전략으로 최대 70%까지
notavoid.tistory.com
Elasticsearch 한글 검색 최적화 - Nori 분석기 완벽 가이드
엘라스틱서치 한글 검색을 위한 최적화 솔루션을 찾고 계신가요?한국어 텍스트 검색의 복잡성 때문에 많은 개발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단순한 키워드 매칭으로는 한국어의 다양한 어
notavoid.tistory.com
트랜잭션에서 발생하는 데드락(Deadlock) 실전 예제와 해결 전략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에서 발생하는 데드락(Deadlock)은 실무에서 가장 까다로운 성능 문제 중 하나입니다.특히 높은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비스에서는 데드락 한 번으로 전체 시스템이 마비될
notavoid.tistory.com
[PostgreSQL] PostgreSQL JSONB를 활용한 복잡한 데이터 처리
JSONB란 무엇인가?JSONB(Binary JSON)는 PostgreSQL에서 제공하는 이진 형태의 JSON 데이터 타입입니다.일반적인 텍스트 기반 JSON과 달리, JSONB는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어 빠른 검색과 효율적인 인덱싱이
notavoid.tistory.com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RA-01555 Snapshot Too Old 에러, UNDO_RETENTION부터 쿼리 튜닝까지: 완벽 해결책 (0) | 2025.09.20 |
|---|---|
| DynamoDB: 기본 개념부터 요금(pricing) 구조와 실제 비용 절감 전략까지 완전 정리 (1) | 2025.07.23 |
| ORA-02292: 오라클 무결성 제약조건 위배(자식 레코드 존재) 에러 완전 정복 (0) | 2025.07.08 |
| Elasticsearch 한글 검색 최적화 - Nori 분석기 완벽 가이드 (0) | 2025.06.19 |
| Redis Cluster vs Sentinel - 고가용성 아키텍처 선택 가이드 (0) | 202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