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현재 PlanetScale과 Supabase는 개발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MySQL과 PostgreSQL 기반의 서버리스 DB를 제공하며 각각의 강점을 바탕으로 경쟁하고 있습니다.
PlanetScale vs Supabase 비교를 시작하며
개발자들은 항상 더 나은 데이터베이스 솔루션을 찾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현재, 클라우드 DB 서비스는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를 넘어 개발 생산성과 비즈니스 성장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PlanetScale vs Supabase 비교를 통해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DBaaS(Database as a Service)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PlanetScale과 Supabase는 각각 MySQL과 PostgreSQL을 기반으로 하는 대표적인 서버리스 DB 플랫폼입니다.
두 서비스 모두 개발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그 철학과 접근 방식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PlanetScale 특징: MySQL 기반의 수평적 확장성
PlanetScale은 YouTube를 위해 개발된 Vitess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MySQL 데이터베이스를 페타바이트 규모의 데이터와 70,000개 노드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MySQL 호스팅 서비스가 아닌, 엔터프라이즈급 확장성을 제공하는 플랫폼임을 의미합니다.
PlanetScale의 핵심 기능
PlanetScale의 가장 큰 장점은 무중단 스키마 변경과 데이터베이스 브랜칭 기능입니다.
브랜칭과 배포 요청 기능을 통해 팀이 검토할 수 있는 무중단 스키마 변경을 지원하며,
MySQL 데이터와 함께 벡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PlanetScale 벡터 지원 기능도 제공합니다.
주요 특징
- Git과 유사한 데이터베이스 브랜칭 워크플로우
- 자동 백업 및 Point-in-Time 복구
- 내장된 쿼리 분석 및 성능 모니터링
- 수평적 샤딩을 통한 무제한 확장성
- 2025년부터 정식 출시된 벡터 검색 기능으로 AI 애플리케이션 지원
특히 PlanetScale Metal은 클라우드에서 사용 가능한 가장 빠른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며,
초고속 NVMe 드라이브로 무제한 IOPS를 제공합니다.
Supabase 특징: PostgreSQL의 풍부한 생태계
Supabase는 "오픈소스 Firebase 대안"이라는 슬로건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그 이상의 가치를 제공합니다.
모든 Supabase 프로젝트는 전용 Postgres 데이터베이스이며, 수백만 명의 개발자가 신뢰하는 세계에서 가장 확장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입니다.
Supabase의 통합 플랫폼 접근법
Supabase의 강점은 단순한 데이터베이스를 넘어선 통합 백엔드 플랫폼이라는 점입니다.
핵심 구성 요소
-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풀 액세스 권한)
-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WebSocket 기반)
- 인증 시스템 (소셜 로그인, 매직 링크 등)
- 파일 스토리지 (S3 호환)
- Edge Functions (Deno 기반 서버리스 함수)
- 자동 생성되는 REST API
고급 데이터 타입(JSON, 배열, 커스텀 타입)을 활용해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B-tree, Hash, GiST 등 다양한 인덱싱 옵션으로 쿼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성능비교: 벤치마크 결과 분석
PlanetScale의 벤치마크 테스트에 따르면, TPCC 워크로드에서 PlanetScale은 평균 약 17,000 QPS를 기록한 반면,
Supabase는 약 5,000 QPS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수치는 특정 조건에서의 결과이므로 실제 애플리케이션 성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성능 비교 표
항목 | PlanetScale | Supabase |
---|---|---|
TPCC 평균 QPS | ~17,000 | ~5,000 |
OLTP 읽기 전용 QPS | ~35,000 | ~18,000 |
p99 레이턴시 | 더 낮음 | 상대적으로 높음 |
스토리지 타입 | 로컬 NVMe (Metal) |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 |
IOPS | 무제한 (Metal) | 설정 가능 (최대 12,000) |
PlanetScale은 로컬 연결된 NVMe 드라이브와 무제한 IOPS, 8세대 AArch64 CPU, 고성능 쿼리 경로 인프라 덕분에 훨씬 낮은 레이턴시를 보여줍니다.
가격 정책 비교: 비용 대비 가치 분석
PlanetScale 가격 정책
PlanetScale의 Scaler Pro 플랜은 사용량 기반 요금제로, 필요에 따라 인스턴스를 업사이즈하거나 다운사이즈할 수 있습니다.
주요 요금 체계
- 무료 Developer 플랜: 10GB 스토리지, 천만 쓰기, 10억 읽기
- Scaler 플랜: 월 $29부터 시작, 25GB 스토리지, 5천만 쓰기, 1000억 읽기
- 스토리지: 첫 10GB 무료, 이후 인스턴스당 GB당 $1.50
- Enterprise: 맞춤형 가격 (BYOC 옵션 제공)
Supabase 가격 정책
유료 플랜에는 월 $10의 컴퓨트 크레딧이 포함되어 있으며, 추가 컴퓨트 파워가 필요한 경우 확장 가능합니다.
요금 플랜
- Free 플랜: 2개 프로젝트, 500MB 스토리지
- Pro 플랜: 월 $25부터, 8GB 스토리지 포함
- Team 플랜: 협업 기능 강화
- Enterprise: 맞춤형 솔루션
Pro 플랜은 기본적으로 지출 한도가 설정되어 있어 비용을 관리할 수 있으며, 포함된 할당량을 초과하여 확장하려면 지출 한도를 해제하면 됩니다.
PlanetScale vs Supabase 차이점: 핵심 비교
데이터베이스 엔진과 호환성
PlanetScale (MySQL 기반)
- MySQL 8.0 기반으로 실행되며, MySQL 5.7부터 8.0까지의 데이터베이스 가져오기를 지원합니다
- Vitess의 공유 없는(shared-nothing) 아키텍처로 인한 일부 호환성 제한이 있습니다
- 외래 키 제약 조건 미지원 (온라인 DDL 지원을 위한 트레이드오프)
Supabase (PostgreSQL 기반)
- Neon은 페이징 레이어를 재구축하고 Postgres 코드베이스를 가볍게 변경하여 바닐라 PostgreSQL과 대부분 호환됩니다
- 풍부한 확장 기능 생태계 (PostGIS, pgvector 등)
- 완전한 SQL 기능 지원
개발자 경험과 워크플로우
두 플랫폼 모두 개발자 친화적이지만 접근 방식이 다릅니다.
PlanetScale의 개발자 워크플로우
- Git과 유사한 브랜칭 모델
- CLI 중심의 워크플로우
- 스키마 변경에 대한 배포 요청(Deploy Request)
- 팀 협업을 위한 리뷰 프로세스
Supabase의 개발자 경험
- 통합 대시보드 (Supabase Studio)
- 시각적 테이블 에디터
- 실시간 SQL 에디터
- 자동 API 생성
사용성 비교: 실제 개발 경험
프로젝트 시작과 설정
PlanetScale:
- 계정 생성 후 조직 설정
- 데이터베이스 생성 (리전 선택)
- CLI 도구 설치 및 인증
- 연결 문자열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연결
Supabase:
- 프로젝트 생성 (자동으로 모든 서비스 프로비저닝)
- 대시보드에서 테이블 생성
- 자동 생성된 API 엔드포인트 사용
-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한 즉시 연결
마이그레이션과 백업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PlanetScale: 무중단 가져오기 도구를 제공하여 프로덕션 데이터베이스를 다운타임이나 데이터 손실 없이 가져올 수 있습니다
- Supabase: pg_dump/pg_restore 지원, 실시간 복제 설정 가능
백업과 복구:
- 두 서비스 모두 자동 백업 제공
- Point-in-Time 복구 지원
- PlanetScale은 브랜치를 통한 추가적인 보호 제공
확장성과 성능 최적화
PlanetScale의 확장 전략
Vitess는 샤드 키 필드 값을 기반으로 적절한 MySQL 인스턴스로 쿼리를 라우팅하여 애플리케이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샤딩할 수 있게 해줍니다.
확장성 특징
- 수평적 샤딩을 통한 무제한 확장
- 읽기 복제본 자동 관리
- 글로벌 엣지 네트워크를 통한 쿼리 라우팅
Supabase의 확장 옵션
Supabase는 수직적 확장을 기본으로 하며, 필요시 읽기 복제본 추가가 가능합니다.
성능 최적화 기능
- 연결 풀링 (PgBouncer)
- 인덱스 자동 제안
- 쿼리 성능 모니터링
보안과 규정 준수
엔터프라이즈급 보안 기능
두 플랫폼 모두 엔터프라이즈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PlanetScale
- SOC 2 Type II 인증
- 전송 중 및 저장 시 암호화
- VPC 피어링 지원
- 감사 로그
Supabase
- Row Level Security (RLS)
- JWT 기반 인증 통합
- SSL/TLS 암호화
- GDPR 준수
커뮤니티 지원과 생태계
오픈소스와 커뮤니티
PlanetScale
- Apache-2.0 라이선스 하의 Vitess 포크를 기반으로 합니다
- 활발한 GitHub 커뮤니티
- 엔터프라이즈 지원 옵션
Supabase
- 전체 데이터베이스 코드베이스를 Apache-2.0 라이선스로 오픈소스화합니다
- 대규모 개발자 커뮤니티
- 풍부한 통합 및 확장 기능
실제 사용 사례와 추천
PlanetScale이 적합한 경우
- 대규모 트래픽 애플리케이션
- 수평적 확장이 필요한 서비스
- 글로벌 사용자 기반
- 복잡한 데이터베이스 운영
- 무중단 스키마 변경이 중요한 경우
- 팀 협업이 필요한 대규모 프로젝트
- MySQL 생태계 의존성
- 기존 MySQL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 MySQL 특화 기능 필요
Supabase가 적합한 경우
- 빠른 프로토타이핑
- MVP 개발
- 스타트업 초기 단계
- 풀스택 애플리케이션
- 실시간 기능이 필요한 앱
- 통합 백엔드 서비스 활용
- PostgreSQL 고급 기능
- GIS 데이터 처리 (PostGIS)
- JSON 및 복잡한 데이터 타입
PlanetScale 대안 Supabase 대안
각 서비스의 대안을 고려할 때 다음 옵션들을 검토해볼 수 있습니다.
PlanetScale 대안
- Amazon Aurora (MySQL 호환)
- Google Cloud SQL
- TiDB Cloud
Supabase 대안
- Neon
- Amazon RDS PostgreSQL
- Google AlloyDB
마무리: 현명한 선택을 위한 가이드
PlanetScale vs Supabase 비교를 통해 두 서비스가 각각의 강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PlanetScale은 MySQL 기반의 강력한 확장성과 엔터프라이즈급 기능으로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Supabase는 PostgreSQL의 풍부한 기능과 통합 백엔드 서비스로 빠른 개발과 프로토타이핑에 이상적입니다.
최종 선택은 여러분의 프로젝트 요구사항, 팀의 기술 스택, 그리고 장기적인 확장 계획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두 서비스 모두 무료 티어를 제공하므로, 실제로 사용해보고 여러분의 워크플로우에 더 잘 맞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조 링크
'유용한툴 및 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칙어 검사기 사이트: 온라인 금칙어 필터링 도구와 개발 방법 완전 정리 (0) | 2025.07.24 |
---|---|
Supabase vs Firebase: 2025년 실시간 백엔드 서비스 비교와 선택 가이드 (0) | 2025.07.20 |
Postman vs Insomnia: 2025년 최고의 API 테스트 툴 비교 및 선택 가이드 (0) | 2025.07.20 |
네이버 검색 API 실전 활용+검색 자동화/최적화 트릭: 완벽 가이드 (0) | 2025.06.24 |
실시간 AI 이미지 생성 API 무료/유료 서비스 비교: 2025년 완벽 가이드 (0)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