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의 에이닷 4.0은 에이전틱 워크플로우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숨은 의도까지 파악하는 한국 최고 수준의 AI 에이전트로 진화했습니다.
들어가며: 에이닷 4.0의 혁신적 변화
2025년 8월 4일, SK텔레콤이 AI 서비스 에이닷에 '에이전틱 워크플로우' 기법을 적용한 에이닷 4.0 버전을 새롭게 선보였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단순한 버전 업그레이드를 넘어 AI 에이전트 고도화의 새로운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에이닷 4.0은 사용자와의 대화 내용을 기억하고,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여 맞춤형 결과를 제공하는 생성형 AI 서비스로 완전히 탈바꿈했습니다.
에이닷 4.0의 핵심 혁신: 에이전틱 워크플로우
에이전틱 워크플로우란?
에이전틱 워크플로우는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와 그간 나눈 대화 내용을 기반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필요한 작업을 순차적으로 계획·실행하는 기법입니다. 현재 ai 트렌드를 선도하는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SKT가 국내 최초로 실용화에 성공했습니다.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 시스템
SK텔레콤은 에이전틱 워크플로우를 에이닷 맞춤형으로 구현하면서 사용자의 요청을 분석해 그에 맞는 작업을 계획한 후 가장 적합한 하위 에이전트를 연결하는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를 도입했습니다.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의 3단계 처리 과정
- 입력 재구성: 사용자 요청을 AI가 재해석
- 계획 수립: 재해석한 요청을 단계별로 나누고 적절한 하위 에이전트 선택
- 작업 관리: 선택한 하위 에이전트를 호출하여 작업 수행
이로써 에이닷 워크플로우는 복잡한 요구사항도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KT 에이닷 4.0의 신기능 완전 분석
1. 다중 에이전트 협업 기능
에이닷 최신 버전에서는 여러 에이전트가 협력하여 최적의 결과를 도출합니다.
기존에 별도로 제공되던 뮤직·증권 에이전트도 하위 에이전트로 편입돼 사용자는 음악 추천·주식 정보 확인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대화창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메모리 기반 개인화 서비스
2025 에이닷 업데이트의 가장 큰 특징은 메모리 기능입니다.
에이닷은 사용자의 요청을 재해석하는 입력 재구성 과정에서는 메모리(Memory)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의 최신 요청에 반영 담긴 의미를 맥락에 맞춰 구체화합니다.
메모리 기능의 활용
- 사용자 대화 이력 기반 맞춤 응답
- 개인 선호도 학습 및 적용
- 메모리 관리 메뉴에서 정보 확인/삭제 가능
3. 동영상 생성 및 AI 편집 기능
에이닷 동영상 생성 기능은 ai 실사용 측면에서 주목받는 신기능입니다.
셀카 사진 5장을 업로드하면 다양한 스타일의 이미지 프로필과 동영상 프로필을 생성해줍니다. 각 스타일에 어울리는 얼굴 표정이 반영되는 움직이는 동영상 프로필이 특징입니다.
동영상 프로필 생성 특징
- 남성/여성 각각 9가지 스타일 제공
- 성별 변경 적용 가능
- 프로필 이미지 5장 + 동영상 2개 제공
- 생성 시간: 약 20분
에이닷 엑스 4.0 오픈소스: 기술력의 공개
한국어 특화 LLM의 새로운 기준
SK텔레콤은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어 처리 능력을 가진 한국어 특화 LLM인 A.X(에이닷 엑스) 4.0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3일 밝혔습니다. 국내 AI 서비스의 새로운 이정표가 된 이번 공개는 생성형 ai 생태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A.X 4.0 모델 사양 및 성능
구분 | 표준 모델 | 경량 모델 |
---|---|---|
매개변수 | 720억개(72B) | 70억개(7B) |
베이스 모델 | Qwen2.5 | Qwen2.5 |
한국어 처리 효율 | GPT-4o 대비 33% 향상 | - |
KMMLU 점수 | 78.3점 | - |
CLIcK 점수 | 83.5점 | - |
자체 테스트 결과 같은 한국어 문장을 입력했을 때 GPT-4o보다 A.X 4.0이 약 33%가량 높은 토큰 효율을 기록하며, 다른 LLM 대비 높은 정보 처리용량에 비용 절감까지 가능한 경제성을 갖췄습니다.
데이터 주권과 보안
SKT AI 서비스의 가장 큰 강점은 데이터 주권 확보입니다. A.X 4.0은 개발 과정에서도 대규모 학습 전 과정을 외부와 연동없이 자체 데이터로 학습해 데이터의 주권도 확보했습니다.
에이닷 실사용 후기와 활용법
개발자 관점에서 본 에이닷 4.0
에이닷 활용법은 다양한 분야에서 확장되고 있습니다. 특히 ai 에이전트 기능은 개발 업무에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합니다.
주요 활용 사례
- 코드 리뷰 및 최적화: A.X 4.0의 코드 분석 능력 활용
- 문서화 자동화: 기술 문서 생성 및 요약
- 프로젝트 관리: 일정 관리 및 업무 추적
- 학습 지원: 새로운 기술 학습을 위한 개인 튜터 역할
기업용 에이닷 비즈 연계
에이닷 후기를 살펴보면, 기업 환경에서의 활용도가 특히 높습니다.
SKT가 이번에 선보인 모델로 기업들은 파생형 모델을 개발할 수 있고, 연구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AI 트렌드 분석: 에이전트 AI의 미래
국내외 AI 에이전트 시장 현황
최근 세계 최대 벤처캐피털(VC) 앤드리슨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가 발표한 '글로벌 생성형 AI 100대 서비스' 보고서에서 에이닷은 AI 웹 분야에서 15위에 오르는 등 글로벌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기술혁신의 핵심: 워크플로우 자동화
ai 파트너로서의 에이닷 4.0은 단순한 질의응답을 넘어 복잡한 업무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합니다.
이는 AI 서비스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으로 평가됩니다.
사용자 경험 개선사항
향상된 음성 인터페이스
'음성모드'는 답변 중에도 사용자의 추가 질문·발화를 곧바로 인식해 대화가 끊기지 않도록 개선됐습니다.
이는 스마트폰 AI의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킨 개선사항입니다.
감성모드와 역할극 기능
에이닷 신기능 중 주목할 만한 것은 감성모드입니다. 사용자가 AI와 역할극 형태로 감성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감성모드'가 추가됐습니다. 이는 ai 비서의 인간적인 면을 강화한 기능입니다.
일정 연동 및 캘린더 통합
최신 기능 중에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은 일정 관리입니다. '일정'에서는 여러 일정을 한 번에 추가·수정·삭제할 수 있고 등록한 일정은 구글 캘린더나 아웃룩과 바로 연동됩니다.
개발자를 위한 에이닷 4.0 활용 가이드
API 연동 및 확장성
에이닷 ai 에이전트는 개발자에게 다양한 확장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오픈소스로 공개된 A.X 4.0 모델을 활용하여 맞춤형 AI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A.X 4.0 모델 활용 예시 (Hugging Face 기반)
from transformers import AutoTokenizer, AutoModelForCausalLM
# 모델 로드
tokenizer = AutoTokenizer.from_pretrained("skt/A.X-4.0")
model = AutoModelForCausalLM.from_pretrained("skt/A.X-4.0")
# 한국어 처리 최적화
def generate_korean_response(prompt):
inputs = tokenizer(prompt, return_tensors="pt")
outputs = model.generate(**inputs, max_length=512)
return tokenizer.decode(outputs[0], skip_special_tokens=True)
크롬 확장 프로그램 활용
SK텔레콤은 고객들이 AI 에이전트 '에이닷(A.)' 내 멀티 LLM 에이전트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글의 브라우저(Browser)인 크롬(Chrome)에서 이용 가능한 '에이닷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출시했습니다.
크롬 확장 프로그램 기능
- 구글, 네이버, 다음, 네이트 검색 결과 실시간 요약
- 12종 LLM 모델 비교 분석
- 페이지 이탈 없는 AI 검색
미래 전망과 로드맵
추론형 모델 출시 예정
SKT는 이달 중으로 수학 문제 해결과 코드 개발 능력이 강화된 추론(Reasoning)형 모델을 공개하고,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수준까지 모델을 업데이트할 계획입니다.
멀티모달 AI 서비스 확장
에이닷 최신 버전은 텍스트를 넘어 이미지, 음성, 동영상을 통합 처리하는 멀티모달 AI로 진화할 예정입니다.
이는 AI 서비스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경쟁사 대비 에이닷 4.0의 차별점
한국어 처리 성능 비교
모델 | KMMLU 점수 | CLIcK 점수 | 토큰 효율성 |
---|---|---|---|
에이닷 엑스 4.0 | 78.3점 | 83.5점 | GPT-4o 대비 +33% |
GPT-4o | 72.5점 | 80.2점 | 기준점 |
기타 국산 LLM | - | - | 미공개 |
데이터 보안과 주권
국내 ai 서비스의 핵심 차별점은 데이터 주권입니다.
해외 서비스와 달리 에이닷 4.0은 온프레미스 설치를 지원하여 기업 데이터 유출 우려를 해소합니다.
실무 적용 사례 및 성과
SKT 그룹 내 적용 현황
SKT는 이미 A.X4.0을 지난 5월 에이닷 통화 요약에 적용, 성공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추후 자사는 물론 SK그룹 내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계획입니다.
적용 서비스
- 에이닷 통화 요약
- 에이닷 노트 서비스
- T멤버십 연계 서비스
- SK그룹 내부 업무 시스템
사용자 증가 현황
SK텔레콤은 정식 출시 22개월을 맞은 에이닷 가입자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국내 AI 서비스 중 최대 규모의 사용자 기반을 의미합니다.
결론: 에이닷 4.0이 제시하는 AI의 미래
에이닷 4.0은 단순한 업데이트를 넘어 AI 에이전트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김용훈 SK텔레콤 에이닷사업부장은 "에이닷 4.0 버전은 에이닷이 일상을 기억하고 돕는 에이전트로 진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에이닷이 사용자의 숨은 니즈까지 깊이 이해하고, 고객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 고도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에이전틱 워크플로우와 메모리 기반 개인화, 동영상 생성 등의 신기능은 생성형 AI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특히 한국어 특화 모델의 오픈소스 공개는 국내 AI 서비스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앞으로 에이닷 4.0이 AI 트렌드를 어떻게 이끌어 나갈지, 그리고 스마트폰 AI와 기업용 AI 서비스의 발전에 어떤 기여를 할지 주목해봐야겠습니다.
관련 링크 및 참고자료
본 포스팅은 2025년 8월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AI 트렌드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M-1B 모델: 특징, 활용 사례, 국내외 AI 모델과 비교 분석 (0) | 2025.08.05 |
---|---|
Sesame AI: 특징, 최신 활용 사례, 국내외 AI 시장에서의 포지셔닝 분석 (0) | 2025.08.05 |
바르코 2.0: 오픈소스 AI 모델 공개와 AI 주권 강화를 위한 산업·정책 동향 (0) | 2025.08.03 |
버티컬AI: 산업별 특화 인공지능 트렌드와 2025년 AI 시장 전망 (0) | 2025.08.01 |
Claude Pro 주간 사용량 한도 및 Claude AI Weekly Limit 정책 완전정리 (0) | 202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