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mise2

코드가 기다릴까? 흐를까 | 동기 vs 비동기 제대로 이해하기 동기 비동기 차이를 이해하고 블로킹/논블로킹, async/await, Promise, 이벤트 루프까지 실전 예제로 완벽하게 정리한 가이드입니다.동기와 비동기, 왜 이렇게 헷갈릴까?프로그래밍을 배우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마주하는 개념이 있습니다.바로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입니다."동기 비동기 차이가 뭐지?" 하고 검색해보면 수많은 설명이 나오지만, 막상 코드를 작성할 때는 여전히 헷갈립니다.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이 글을 읽고 나면 동기 비동기 프로그래밍의 핵심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동기(Synchronous) 프로그래밍의 작동 원리동기 방식의 기본 개념동기 방식은 작업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래밍 패턴입니다.메소드를 .. 2025. 11. 1.
Node.js에서 비동기 처리 방식 총정리 – Callback, Promise, async/await Node.js는 싱글 스레드 기반의 비동기 이벤트 주도 아키텍처를 가진 JavaScript 런타임 환경입니다.이러한 특성 때문에 Node.js에서는 비동기 처리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본 글에서는 Node.js에서 사용되는 세 가지 주요 비동기 처리 방식인Callback, Promise, 그리고 async/await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고,각각의 장단점과 실제 적용 예제를 통해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비동기 프로그래밍의 필요성과 Node.jsJavaScript는 본래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단일 스레드 언어로 설계되었습니다.이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하지만 웹 애플리케이션이 점점 복잡해지면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가했습니다.No.. 2025.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