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1 문제

JPA를 사용하여 개발하다 보면 예상보다 많은 쿼리가 실행되어 성능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러한 문제의 대표적인 원인이 바로 'N+1 문제'입니다.이 글에서는 JPA N+1 문제가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제 코드 예제와 함께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JPA N+1 문제란 무엇인가?JPA N+1 문제는 연관된 엔티티를 조회할 때 발생하는 성능 문제입니다.처음에 1개의 쿼리로 N개의 데이터를 가져온 후, 각각의 연관된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추가로 N개의 쿼리가 실행되는 현상을 말합니다.예를 들어, 사용자 10명의 정보와 각 사용자가 작성한 게시글을 조회한다고 가정해봅시다.N+1 문제가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쿼리가 실행됩니다:-- 1. 사용자 10명 조회 ..
🔍 요약: JPA에서 자주 발생하는 LazyInitializationException 문제의 원인과 다양한 해결 방법을 실제 사례와 코드 예제를 통해 알아봅니다.LazyInitializationException이란?JPA를 사용하다 보면 가장 흔하게 마주치는 예외 중 하나가 LazyInitializationException입니다.이 예외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와 함께 발생합니다:org.hibernate.LazyInitializationException: could not initialize proxy - no Session이 예외는 영속성 컨텍스트(Persistence Context)가 종료된 후에 지연 로딩(Lazy Loading)으로 설정된 엔티티를 참조하려고 할 때 발생합니다.즉, 이미 데이터베이스..
devcomet
'N+1 문제' 태그의 글 목록